열린마당

부처님의 자비 광명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자유게시판

재가보살포살본在家菩薩布薩本 / 편저: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김영만

view : 3760

 

 

-재가보살포살본在家菩薩布薩本(편저: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자료 중에서-

 

                                                                       

 

대승보살계는

발보리심(發菩提心)을 근본으로 하여,

보리심을 계(戒)의 체(體)로,

참회로써 계(戒)의 상(相)을,

보살 이타행(利他行)으로써 계(戒)의 용(用)을 삼는다.

 

만약에 보리심을 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엄격히 청정계(淸淨戒)만 지킨다면 그것은 속계(俗戒)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들 범부중생들은 아직 숙세(宿世)의 업과 잘못된 소견으로 번뇌를 일으키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몸과 마음의 청정(淸淨)을 회복하려면 참회의 행법(行法)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는 것이다.

이 수행의 길은 멀고도 험한 것이다.

일생을 걸려서도 한 단계를 넘어서기 힘들지 모른다.

수행이 깊어질수록 장애가 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불퇴전의 용기로 나아가는 사람은 모든 역경을 물리칠 수 있을 것이다.

포살(布薩)의 의미

포살은 원래 베다(veda) 이래로 행한 인도의 제법(祭法)의 관습에서 온 것이다. 인도에서는 15일과 30일 제(祭)의 전야제(前夜祭)에 음식을 금하고(禁食)

청정계행(淸淨戒行)을 지키며 제를 해왔다. 그것이 사회에 일반화하면서 매월 8일, 14일, 15일에 포살집회(布薩集會)를 거행했다.

이 관습을 불교교단에서 받아들여 부처님 당시 재가불자들은 정법(淨法)을 행하기 위해 8계를 수지하고 보름에 한 번 불비시식(不非時食)을 하며 정기적으로 교단에 와서 포살참회집회(布薩懺悔集會)에 참석했다. 포살집회에 불비시식을 신중(信衆)이 하게 된 것도 인도 제법(祭法)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것이 더 발전된 것이 승가포살(僧伽布薩)이며 보름마다 한 번씩 거행하여 설계포살(說戒布薩)을 하게 된 것이다.

포살(布薩)이란 팔리어 uposatha의 음역(音譯)이며, 청정하고, 깨끗함에 머물러(淨住), 착함을 성장시킨다(長養)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포살의 날로 매월15일(full moon)과 29일(last moon), 혹은 30일(moon) 등 보름마다 불교교단 내에 정기집회(定期集會)로서 계(戒)를 설하며, 동시에 반성(reflexion), 참회(repentance)를 거행하여 재가불자와 출가승들이 각기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으로 범한 죄상(罪相)들을 대중(衆僧) 앞에 드러내어(陳述) 죄업을 소멸시키며 청정계(淸淨戒)를 수지(修持)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보살십중대계(菩薩十重大戒)

第1重戒 살생하지 말라(殺生戒)

第2重戒 훔치지 말라(偸盜戒)

第3重戒 음행을 하지 말라(不淫戒)

第4重戒 거짓말 하지 말라(妄語戒)

第5重戒 술을 팔지 말라(酤酒戒)

第6重戒 사부대중의 허물을 말하지 말라(說四衆過戒)

第7重戒 자신을 칭찬하고 남을 헐뜯지 말라(自讚毁他戒)

第8重戒 내 것을 아끼려고 남을 헐뜯지 말라(慳惜加毁戒)

第9重戒 성내지 말고 자비심으로 타인이 선의 사과를 하거든 받아주어라(嗔心不受悔戒)

第10重戒 삼보를 비방하지 말라(謗三寶戒)

四十八輕戒

 

第1輕戒 스승과 벗을 공경하라(不敬師友戒)

第2輕戒 술을 마시지 말라(不飮酒戒)

第3輕戒 고기를 먹지 말라(食肉戒)

第4輕戒 오신채를 먹지 말라(食五辛戒)

第5輕戒 죄를 참회하도록 가르쳐라(不敎懺悔戒)

第6輕戒 수승한 법사나 법우에게 예배와 공양을 하며 법을 배우라(不敬供請法戒)

第7輕戒 경율을 설하는 곳에 가서 법을 들어라(不往廳法戒)

第8輕戒 대승 경율을 어기고 삿된 것(邪見)에 물들지 말라(背大向邪戒)

第9輕戒 병든 이를 간호하라(不看病戒)

第10輕戒 살생도구를 두지 말라(畜殺生具戒)

第11輕戒 군사사절이 되지 말라(國使戒)

第12輕戒 나쁘게 장사하지 말라(販賣戒)

第13輕戒 근거 없이 남을 비방하지 말라(無根謗人戒)

第14輕戒 고의로 방화하지 말라(放火燒損戒)

第15輕戒 대승 경율이 아닌 삿된 법으로 교화하지 말라(邪見違大乘戒)

第16輕戒 이양(利養)을 위해 잘못 가르치지 말라(爲利倒說戒)

第17輕戒 세력을 믿고 억지로 구하지 말라(依勢惡求戒)

第18輕戒 아는 것 없이 스승이 되지 말라(不解作師戒)

第19輕戒 나쁜 생각으로 이간하여 착한 이들을 비방하고 업신여기지 말라(鬪諍欺賢戒)

第20輕戒 생명을 구제하라(不行放生戒)

第21輕戒 자비심 없이 원한으로 원수 갚지 말라(無慈報讎戒)

第22輕戒 교만을 버리고 먼저 법을 수학한 이에게 묻고 배우라(憍慢不諮受先學戒)

第23輕戒 새로 처음 배우는 이를 경멸하지 말라(輕蔑新學戒)

第24輕戒 대승을 항상 배우고 이승(二乘)과 외도의 경전을 배우지 말라(背大向小俗典戒)

第25輕戒 승방주(僧房主)는 삼보의 물건(三寶物)을 잘 지키고, 자기 소유물 같이 사용하지 말라. 마땅히 자비심으로 지켜 대중에게 다툼을 불러일으키지 말라(當主失儀戒)

第26輕戒 객승이 승원에 들어오면, 객승에게도 마땅히 공양과 대접을 하라(迎客僧違養戒)

第27輕戒 스님네는 별청을 받지 말라(受別請戒)

第28輕戒 스님네를 따로 별청하지 말라(別請僧戒)

第29輕戒 나쁜 직업을 갖지 말라(邪命養身戒)

第30輕戒 삼보를 비방하고, 6재일(齋日)을 파하지 말라 (謗三寶破齋戒)

第31輕戒 나쁜 사람이 불상이나 경전을 매매해 이익을 구하려 하거든 사(買)서 돌려 받아라(見厄不救護戒)

第32輕戒 세력으로 빼앗지 말라(橫取他財戒)

第33輕戒 방일한 마음으로 타인의 싸움이나 방탕한 놀이를 구경하지 말라(惡心觀玩他人鬪)

第34輕戒 대승계를 굳게 지켜라(護持禁戒)

第35輕戒 큰 서원을 세워라(不發大願戒)

第36輕戒 열 가지 원을 세워라(不發十願戒)

第37輕戒 위험한 곳으로 유행을 하지 말라(入難遊方戒)

第38輕戒 계를 받은 차례대로 앉으라(坐無次第戒)

第39輕戒 중생 교화로, 재난을 받는 중생에게는 마땅히 대승 경율을 말해줘라(應講不講戒)

第40輕戒 7역죄인을 제외하고 가리지 말고 계를 주라(受戒非儀戒)

第41輕戒 덕 없이 이양을 위하여 스승이 되지 말라(無德作師戒)

第42輕戒 이양을 위하여 보살계를 받지 않은 자, 외도, 악인 사견인 등의 앞에서 칠불교계(七佛敎戒)를 설하지 말라(非處說戒戒)

第43輕戒 정계를 어기지 말고, 파계한 몸으로 단월(dana)의 공양을 받지 말라(毁禁聖戒)

第44輕戒 경율을 항상 사경하고 염송하며, 공경하라(不重經律戒)

第45輕戒 중생을 항상 교화하라(不敎化衆生戒)

第46輕戒 설법하는데 위의를 지켜라(說法乖儀戒)

第47輕戒 계를 받은 국왕이나 관리는 삼보를 제재하는 비법을 세우지 말라(非法立制戒)

第48輕戒 세력에 아첨하여 불법을 깨거나 승단을 깨지 말라(自壞佛法戒)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동입력방지 스팸방지를 위해 위쪽에 보이는 보안코드를 입력해주세요.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