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교사단 사업

부처님의 자비 광명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불교 바른정보사업

바른정보활동사례

네이트출처 -이판사판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서용칠

view : 1501

확실한건 아닌데,
완전한 목숨을 걸고 이번에 끝낸다.
라는 뜻이 담긴 듯하네요.
이판이 사(死)판이다.
아마 이런 뜻일겁니다.
유래는 잘 모르겠습니다.

위의 불자가 리풀을 달았는데요 아주 틀린말은 아니나 좀더 구체적으로 답을 달았으면 하는 아쉬움이있습니다

 

이판사판(理判事判) 이라함은 조선건국후 승려의 지위가 상놈 이하로 추락하면서 승려들이 불교를 지켜내기 위하여 어떤이는 종이만들고 무명을 짜면서 신을 삼아 팔기도 하면서 남아있는 사찰을 지켜냈고 어떤스님은 불교의 교리를 공부하고 참선하면서 불교의 가르침을 지켜냈습니다

승려의 신분이지만 소임이 달랐던것입니다  

이말이 와전되여 막다른 골목길에서 선택하고나 죽자살자 매달리는 뜻으로 되여있습니다

이렇듯 불교 고유의 말이 잘못된 것이 많이있습니다 예를 하나들면 야단법석이지요

 

참고로 daum 원형문화에서 풀이한 것을 옮겨봄니다

 

이판사판[理判事判]

 

 본문

 

막다른 궁지' 또는 '끝장'을 뜻하는 말로 뾰족한 묘안이 없음을 비유한 말.
한자말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이 붙어서 된 말이다. 그리고 이 이판과 사판은 불교 용어로서 조선시대에 생성된 말이다. 조선은 건국 이념으로 억불숭유(抑佛崇儒)를 표방하였다. 이것은 고려 말에 불교의 폐해가 극에 달했기 때문이며, 한편으로는 조선의 건국에 신흥 유학자 사대부 세력이 대거 참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쨌든 불교는 정권의 교체와 함께 하루 아침에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천민 계급으로 전락한 승려들 또한 활로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 되었는데, 그 하나는 사찰(寺刹)을 존속시키는 것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불법(佛法)의 맥(脈)을 잇는 것이었다. 그래서 일부는 폐사(廢寺)를 막기 위해 기름이나 종이, 신발을 만드는 제반 잡역(雜役)에 종사하면서 사원을 유지하였다. 한편으로 이와는 달리 은둔(隱遁)하여 참선 등을 통한 수행으로 불법을 잇는 승려들이 있었다. 이를 두고 앞의 것을 사판, 뒤의 것을 이판이라 하였다. 결국 조선시대를 거쳐 지금의 현대 불교가 융성한 것도 이 두 부류의 승려들이 자신들의 소임을 다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그런데 이 이판사판의 뜻이 전이되어 부정적 의미로 쓰이게 된 데에는 시대적 상황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의 억불정책은 불교에 있어서는 최악의 상태였다. 승려는 최하 계층의 신분이었으며, 성의 출입 자체가 금지되어 있었다. 자연히 당시에 승려가 된다는 것은 인생의 막다른 마지막 선택이었다. 그래서 이판이나 사판은 그 자체로 '끝장'을 의미하는 말이 된 것으로 보인다.

 

 

대한불교 조계종 포교사단 정보팀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