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교사단 사업

부처님의 자비 광명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불교 바른정보사업

바른정보활동사례

네이버출처 - 해외에서 잃어버린 우리나라 문화재

서용칠

view : 2054

신고신고

1.해외유출 불교문화재 4만여점

해외에 유출된 우리 문화재가 7만6천여 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불상, 탱화, 탑, 불서 등 불교문화재도 4만여 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문화재청은 8월말 현재 일본·미국·프랑스 등 20여개국에 7만5,966점이 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고 9월 30일 밝혔다. 국가별로 유출현황을 살펴보면 일본이 3만4157점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 1만6812점, 영국 6610점, 독일 5289점, 러시아 3554점, 프랑스 1960점, 중국 1434점, 덴마크 1240점, 캐나다 1080점, 네덜란드 820점, 스웨덴 804점, 오스트리아 679점, 바티칸 500점 등이다. 이 수치는 각종 자료를 취합해 문화재 유출실태를 파악한 결과여서 실제 유출된 문화재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관계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들 문화재는 임진왜란과 신미양요 등 전란기와 일제시대, 한국전쟁 등 사회적 혼란기에 유출된 것으로, 국보·보물급 문화재가 상당수 포함돼 있다. 그러나 유출경위가 불확실한데다 국가간, 소장자 사유재산 문제 등이 얽혀 있어 환수 조치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조계종 문화부 국장 심원스님은 “시급한 문제는 아니지만 해외로 유출된 불교문화재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이들 문화재의 반환을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지난해부터 2012년까지 10개년 계획으로 문화재 해외유출 실태와 학술·문화적 가치 조사를 벌이는 한편, 기증을 권유하거나 소장국가 또는 기관의 박물관에 한국실을 설치해 전시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 2003-10-04 오전 9:45:09 박봉영 기자 붓다뉴스

★출처 : http://www.buddhanews.com/HTML2/2003/buddha_21278.html



2.해외유출 문화재 7만여점

수월관음도, <왕오천축국전>등 해외로 유출된 문화재는 99년 9월까지 일본, 미국등 18개국 7만329건에 이르며, 국내 출토·발굴 미신고유물도 64년부터 지금까지 88만587건으로 누적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문화재청이 국회 문화관광위에 제출한 국감자료에서 밝혀졌다. 해외유출 문화재는 문화재청, 국제교류재단, 대우재단 등이 최근까지 40여차례에 걸친 현지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조사과정에서 해외유출 문화재는 지난해 4월 이후1년 4개월동안 1천8백여점이 늘어났다. 나라별로는 일본이 가장 많은 3만3천75점을 갖고 있으며 미국 1만5천414점, 영국 7천189점, 독일 5천246점, 러시아 3천350점, 프랑스 1천519점, 덴마크 1천470점, 중국 1천434점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유출된 문화재 가운데 지난 58년부터 지금까지 3천883점(일본 3천461점, 뉴질랜드 193점, 미국 228점, 프랑스 1점)만 환수된 것으로 조사됐다. 미환수 문화재에는 수월관음도(일본), <직지심체요절>(프랑스), 왕오천축국전(프랑스)등 국보급 문화재도 다수 포함됐다. 그러나 해외유출 문화재 반입을 위한 예산은 지난해 4천5백여만원에서 3천7백여만으로 삭감, 해외유출 문화재 회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는 64년부터 지금까지 발굴·출토된 유물 가운데 관계 당국에 신고되지 않은 유물이 88만587건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이들 문화재는 발굴 기관과 목록만 조사됐을 뿐, 사진·문헌자료 등은 제출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미신고 유물은 관련 학계에서 연구 대상으로 채택할 수 없기 때문에 유물로서 가치를 상실하고 있는 것이다. 또 84년부터 도난·도굴 당한 불교문화재는 316건에 총 453점. 그 중 국가지정문화재는 7점에 불과했으나 비지정 문화재는 429점으로 94.8%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발생건수는 97, 98년 두 해동안 2천여점이 도난·도굴된 반면 99년에는 60점에 그쳐 감소 추세로 나타났으나, 대부분 비지정문화재인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비지정문화재 보호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 오종욱 기자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