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출처 - 시민단체가 하는일좀 알려주세요
서용칠
view : 1317
시민단체란?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들이 스스로 만든 모임
시민단체의 종류 및 하는 일
-정치문제
사회개혁(종류) : 경실련 = 경제정의 실천시민 연합
경제 정의의 안정적 유지를 통해 공정하고 깨끗한 사회를 목적으로 결성된 시민단체 정치개혁시민연대
국가 권력 감시 밑 시민 권리 보장을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
하는 일 - 정치 관련시민단체들은 바른 정치를 이루기 위한 활동을 한다.
Ex ) 깨끗한 선거가 이루어지는지 감시하는 활동, 청문회 내용 보고활동 등
-경제문제
소비자, 생활(종류) : 녹색소비자연대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인간다운 사뢰를 건설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만든 단체 한국 소비자 생활연구원
소비자 교육,환경 친화적 소비 생활 연구개발등의 활동을 하는 단체
하는 일 - 경제관련 시민단체들은 경제 민주화 실천을 위한 활동을 한다.
Ex )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행정 감시 활동, 납세자의 권리보호운동 등을 통하여 예산 낭비를 감시하는 활동 등
-환경문제
환경, 교통(종류) : 환경운동연합
우리가 살고 앗는 지구의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설립된 단체
녹색연합
국토오염방지를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
하는 일 - 환경 관련시민단체들은 환경보호를 위한 활동을 한다.
예)환경파괴가 우려되는 댐 건설 및 간척사업 중지를 위한 활동 등
-문화보전(종류) 교육, 문화 : 열린 문화 운동 시민연합
훼손되어가고 있는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우리 역사 바로 알기 운동' 을 전개하는 단체
청주시민회 직지 찾기 운동 본부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금속 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을 찾기 위해 조직된 단체
하는 일 - 교육관련 시민단체들은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한다.
경실련이란...
정식명칭은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며 약칭은 '경실련'이다. 공정한 시장경제질서와 경제정의의 안정적 유지를 목적으로 1989년 7월 시민·청년·서민층 등이 결성한 시민운동단체이다. 사회적·정치적 부정부패, 건전한 시민의식의 고양, 빈부격차 등을 해소하고, 건전한 생산 활동의 활성화를 중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양심적이고 의식 있는 시민들을 중심으로 자주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통하여 합법적·비폭력적인 평화운동의 형태로 경제적 민주주의를 실현하고자 한다. 특히 사회적으로 생산된 경제적 부(富)가 민주적 절차를 거쳐 공정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일한 만큼 대접 받는 공정한 사회, 검은 돈이 사라지는 투명한 사회, 돈 안 드는 선거, 깨끗한 정치가 실현된 사회, 부정과 부조리가 근절된 밝은 사회, 자연과 인간이 함께 하는 건강한 사회, 사회적 공공성이 실현되는 합리적인 사회를 정착시키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활동 내용과 영역은 소득의 공정한 분배문제, 선거감시, 부정부패 추방, 환경보호, 제도개혁 등으로 확대하였다. 한편 경실련의 독특한 성격은 단순한 정책비판에 머물지 않고 대안까지 제시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경실련 내에는 정책대안을 담당하는 정책연구위원회가 17개 분과로 구성되어 공청회·토론회·월례정책세미나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또한, 시민입법위원회·노사관계개혁위원회·지방자치특별위원회· 농업개혁위원회와 같은 특별위원회도 운영한다.
주요 활동에는 부동산투기 근절을 위한 활동, 한국은행 독립 촉구활동, 부동산실명제의 올바른 실시 촉구활동, 금융실명제 실시와 강화를 위한 활동, 재벌의 경제력집중 분산을 위한 활동, 세제·세정 개혁운동, UR대응 및 우리 농업 살리기 운동, 공명선거 캠페인, 정책캠페인, OECD 조기가입 연기 및 제도정비 촉구활동, 5·18특별법 제정과 특별검사제 도입을 위한 활동, 지방자치제도 활성화를 위한 활동, 정치·행정제도 개혁을 위한 활동, 시민의 알권리보장과 행정민주화를 위한 활동, 언론감시 활동 등이 있다.
상임집행위원회에는 정책협의회·지방자치위원회·정부개혁위원회·시민입법위원회·국제위원회·재정위원회·윤리위원회·조직위원회 등이 있으며, 개별기구에는 경제정책연구소(사)·경실련통일협회(사)·도시개혁센터(사)·부정부패추방운동본부(사)·월간경실련(사) 등이 있다.
부설기관에는 경실련 알뜰가게, 환경 농업 실천 가족연대, CCEJ-하이텔 정보교육원, 경실련 정농생활협동조합 등이 있으며 유관조직으로는 경제정의실천불교시민연합이 있다. 지역 경실련에는 경기·인천지역협의회, 강원지역협의회, 충청지역협의회, 전라·제주지역협의회, 경상지역협의회 등이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 50-2번지에 경실련회관이 자리 잡고 있다.
소득의 공정한 분배에 기초한 경제정의를 실현한다는 취지로 발족한 시민운동단체 | |
구분 |
시민운동단체 |
설립연도 |
1989년 |
소재지 |
서울 종로구 동숭동 50-2 경실련 회관 |
설립목적 |
공정한 사회, 투명한 사회, 깨끗한 사회, 밝은 사회, 건강한 사회, 합리적인 사회의 정착 |
주요활동 |
소득의 공정한 분배문제, 선거감시, 부정부패 추방, 환경보호, 제도개혁 등 |
규모 |
공동대표 4인, 집행위원회 8개, 전국 5개 지역협의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