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전문포교사 연수과제
방승일
view : 1273
2014년 전문포교사 연수과제
법 명 |
성 암 |
성 명 |
방 승 일 |
성 별 |
남 | ||
소속/팀 |
인천경기 지역단 /사찰문화해설2팀 |
전문포교사 기수 |
1 기 |
● 자비나눔공동체사업을 위한 전문포교사의 1인5화운동
추진방안 및 계획
1. 추진방안
부처님의 자비사상을 바탕으로 ‘자리이타’ 정신을 구현하며, 우리 사회의 그늘진 곳을 찾아 복리를 증진시키고 사회 참여 활동을 통해 자기 발전의 기회를 목적으로 삼으며, ‘인과응보’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직접 체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계획
이웃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고 힘겹게 살아가는 이웃과 벗을 찾아가 위로해 주고 그들에게 지혜로운 삶의 길을 안내해 주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정리하고자 합니다.
첫째, 무료 급식 봉사
매주 1 - 2회 정도 지정된 장소에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무료 급식을 행함으로써 부처님의 가르침인 자비와 동체대비 사상을 고취시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독거노인 돕기 봉사
해 마다 되풀이 되는 겨울철이 돌아오면 더욱더 고통을 받는 독거노인들에게 연탄(난방용) 보내기, 쌀 보내기, 김장 김치 보내기 운동을 함으로서 이웃과 함께하는 사회를 만들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셋째, 1인 1 통장 개설 해 주기 봉사
스님들께서는 부모가 없는 고아를 사찰에서 지내도록 마치 부모님처럼 보호해 주는 경우를 우리는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찰재정이 그리 넉넉하지 못해 여러 가지 애로점이 많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뒷 바라지 할 경우에는 많은 경비가 들고 이 들이 사찰이라는 둥지를 떠날 때에는 돈이 필요하게 될 것입니다. 이 들에게 1인 1통장을 개설 해 주고 매달 정규적으로 후원금을 전달함으로서 보시와 수행이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울수 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넷째, 불교 문화 체험에 따른 봉사
이웃 불교국가 외국인 뿐만 아니라 불자인 새 터민들에게 각 사찰에서 정규적으로 temple stay를 행함으로써 그들에게 사찰문화 뿐만 아니라 사찰 문화재, 사찰음식을 통하여 불교에 대한 심신을 갖도록 고취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섯째, 농촌 일손 돕기 봉사
각 사찰에서는 지정된 마을이나 부락과 ‘자매결연’을 맺고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소비해 줌으로써 농촌 생활에 다소나마 도움을 줄 수 있고, 더 나아 가서는 바쁜 시기에 일 손 돕기를 행함으로써 ‘나눔’이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울 수 있습니다.
끝으로 ‘노인 포교 활성화’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합니다.
노인 포교란 곧 젊은이와 가족들을 부처님의 가르침 속으로 초대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노인 포교 활성화’를 시키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코자 합니다.
첫째, 독거노인을 비롯해 장기 와병노인 등과 같이 소외되는 노인들에 대하여 방문 서비스 봉사를 행한다.
둘째, 임종이 가까워지고 호스피스 서비스를 필요한 노인들에게 임종 간호 및 호스피스 서비스, 임종 염불법을 행한다.
셋째, 건강한 노인들에게는 그 들이 가지고 있는 전문적인 지식을 여러 노인들앞에서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줌으로서 노인으로써 당당한 자부심을 갖도록 행한다.
넷째, 노인들에게 불교 음악이나 서예, 다도 같은 문화 교실을 만들어 그들 스스로가 삶의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행한다.
이와 같이 행할 때 노인 포교에 큰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포교원 측에 바라는 마음
포교원 측에서는 전문 포교사와 1: 1 대화하는 장을 만들어 포교사님들께서 주문 하시는 문제점을 고려하시다면 포교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작성자 : 전문 포교사 방 승 일
작성일 : 2014년 11월 10일
-
포교사단
네 제출 확인합니다
2014-11-20 1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