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제55차 포교종책 연찬회
한성웅
view : 6025
대한불교조계종 제55차 포교종책 연찬회 - 지역포교 활성화로 세상의 빛이 되자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원장 지원스님)은 3월 26일 오후 2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2층 대회의실에서 ‘34대 집행부 지역중심 종책기조와 포교종책 과제’를 주제로 제55차 포교종책 연찬회를 개최했다.
회의는 포교원 연구실장 법상스님 주재와 윤영희 포교차장의 사회로 삼귀의와 반야심경 봉송으로 시작되어 각 주제별 발제로 이어졌다.
조계종 이석심 총무차장은 ‘지역중심 34대 집행부 포교종책 과제와 전망’ 발제에서 “우리사회가 민주적 의견수렴과정 생략으로 갈등증폭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필요하게 되었다.”고 진단하고 “이제는 통치(統治)의 개념보다 협치(協治)의 개념이 더욱 중요한 시대이기 때문에 지방의 자율성이 더욱 존중돼야”면서, “중앙․교구 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역포교 및 지역불교 활성화’를 통해 교구가 지역사회 중심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중앙ㆍ교구 발전위원회 구성 및 운영 △교구의 행정시스템 구축 △말사주지인사 교구 이양 및 교구인사제도 개선 △승려복지 제도의 정착 및 시행 △기초자치단체인 시․군․구 기준으로 지역포교 및 지역사회사업 전개 △교구관할구역 획정 및 직할교구 권역별 관리 △종무인력 양성 및 교구와의 순환교류 △수도권 포교활성화 등의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마련하는 방안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또 “지역사회 불자(구성원)에 기반한 교구 중심으로 교세 확장이 이뤄져야 하며, 이것이 지역포교 및 수도권 포교 활성화의 귀착점”임을 강조했다.
이어 조계종 포교국장 노휴 스님은 ‘지역전법 토대 구축과 지역포교 활성화 방안’을 주제에서 발제문을 통해 “지역포교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구를 관할하는 교구본사와 사찰이 중심이 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지역을 중심으로 포교단체와 신도단체의 조직과 인력현황을 파악하고 포교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우선적 과제”라고 주장했다.
또 사찰 실존 근거가 지역인 만큼 “지역과 소통하며 지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기적인 교육과 수행, 신행프로그램 마련 △사찰의 문화를 지역민이 향유할 수 있는 개방된 시스템 구축 △불교의 정신문화적 가치로 복지와 교육, 치유의 장을 위한 문화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지역 활성화를 위한 종단 과제로는 △교구본사 중심 포교조직 네트워크 구축 △포교콘텐츠 개발과 보급 △포교인력 양성과 지역조직 확대 △총무원, 교육원과의 통합적 추진 △지역불교활성화를 위한 실행단위 구성 등을 대책으로 제시했다.
중앙신도회 불교사회적경제 지원본부 박주언 본부장도 ‘사찰의 지역공동체 창출과 네트워크 구축방안’ 발제문에서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성과는 지역포교의 활성화로 이어진다”며 이웃종교와 불교계에서 진행되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의 사회적경제의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고, “도심사찰에 기반한 사회적 경제조직과 지역사찰의 사회경제적 조직간 교류를 통해 지역공동체 사업 창출과 네트워크 실현으로 도심사찰과 지방사찰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동반성장할 수 있는 고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는 박재현 월정사 종무실장이 ‘지역중심 34대 집행부 포교종책 과제와 전망’ 이준엽 호남불교문화원 실장이 ‘지역불교가 살아야 한국불교가 산다’ 동화사 포교국장 미수스님이 ‘지역중심 포교종책과제 교구중심제 지역연합회 등 종단의 지역중심사업 연계성 확보’, 곽명희 포교사단장의 ‘지역전법 네트워크 구축에 따른 포교사단 역할과 참여방안’, 조기룡 동국대 불교학술원 조교수의 사찰의 ‘지역공동체 창출과 네트워크 구축방안에 대한 논평’, 윤남진 소셜리서치 멘토르 대표가 ‘사찰의 지역공동체 사업창출에 대한 토론문’을 발표했다.
포교원 연구실장 법상스님은 결론에서 “사회가 불신시대, 자존감이 충만한 시대이지만 그것을 융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믿음이 확고하게 서야한다”면서 “불교적 신앙을 바탕으로 좋은 사회를 이루어야 하는 만큼 오늘 토론을 발판으로 좋은 종책이 마련되도록 노력하겠다”는 말로 연찬회를 마쳤다.
기
기사/사진 정책전문위원 도광 한성웅(shaddhan@hanmail.net)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