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부처님의 자비 광명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자유게시판

안타까운 불교의 현실..박성배 교수(1)

허태기

view : 1750

깨달음이란 곧 실천 하는 것   / 박성배



“깨달음이란 곧 實踐하는 것” (1)


-전남대학교에 교환교수로 와 있던 박성배 박사(53. 뉴욕주립대 종교학과)가 1년간의 강의를 마치고 지난 12일 미국으로 떠났다.  박성배 교수는 69년 한국을 떠나기 전 동국대학교에서 인도철학을 가르쳤으며 한 때 해인사로 出家하여 화제를 모았던 불교학자.  16년만에 돌아온  박성배 교수의 눈에 비친 한국 불교는 어떤 모습일까.  또 한국 불교를 위해 그가 제시하는 “衆生佛敎”의 구체적 논리는 무엇인지 離韓을 며칠 앞두고 인터뷰를 통해 알아봤다.


-다시 떠나신다니 섭섭합니다.  오늘 선생님을 찾아 뵌 것은 故國에 돌아와 1년간 살펴 본 한국 불교의 현상과 발전적 전망에 대한 의견을 듣고 싶어서입니다.


[좀 거북하게 들릴지 모르겠습니다만 솔직히 말해 현재상태라면 장래는 비관적이라는 생각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일부 희망적인 부분이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니나 근본적인 방향전환이 없는한 한국불교는 形骸化하거나 枯死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입니다.]


-한국 불교의 현실을 비관적으로 진단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무엇보다 한국 불교는 民衆과 遊離되어 있습니다.  중생의 고통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들의 요구에 어떻게 응답해야 할 지를 모른 채 관념화된 깨달음만을 되뇌이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이런 현상을 불교가 고답적이고 철학적인 종교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기도 하는데 나의 견해는 다릅니다.  불교는 모든 중생이 부처이다, 부처가 될 수 있다고 가르치는 종교입니다.


불교의 깨달음은 부처님이나 일부 고승들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이 가능하다는 보편성에 있습니다.


그럼에도 깨달음을 산중으로 끌고 들어가 특수화시킴으로써 민중이 불교의 진실에 접근할 수 없도록 높은 담을 쳐 놓고 있습니다.  불타의 깨달음이 보편화되지 않는 오늘의 불교를 놓고 어떻게 미래를 낙관할 수 있겠습니까?]


-보다 原論的인 질문입니다만 그렇다면 깨달음은 무엇입니까?  어떤 상태를 깨달음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불교의 바른 깨달음은 일체중생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느끼는 상태입니다.  부연하면 불교의 깨달음은 존재의 실상에 대한 올바른 인식입니다.  부처님이 깨달은 존재(存在)의 실상(實相)은 모두가 서로 의존하고 보완하는 연기적(緣起的) 관계에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때문에 일체 중생은 현상적으로는 이체(異體)이지만 본질적으로는 동체(同體)입니다.  동체(同體)에 대한 자각은 필연적으로 이웃과 고통을 나누는 大悲의 행동을 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오른손이 다치면 왼손이 치료를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동체(同體)이기 때문이듯 중생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는 것도 같은 이치입니다.  불교의 깨달음이 이와 같지 않은 것이라면 그것은 관념적 환상에 불과한 것입니다.  깨달음은 관념이 아니라 실천이고 행동입니다.]


-그렇다면 흔히 말하듯이 “自性을 깨친다”고 할 때 그 自性이란 무엇입니까?


[自性을 실체(實體)개념으로 파악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그것은 “법성(法性)”과 통하는 말이어야 합니다.  법성은 곧 연기성(緣起性)이고 연기성은 곧 동체성(同體性)입니다.]


-질문이 중복되는 것 같습니다만 불교의 깨달음이 행동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없는 근거는 무엇입니까?


[중생의 고통입니다.  일체중생이 나와 한 몸인데 그 일체중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동입력방지 스팸방지를 위해 위쪽에 보이는 보안코드를 입력해주세요.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