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간화선 지침-화두(話頭)공부의 병통(病痛)은?
김창엽
view : 1649
41. 화두(話頭)공부의 병통(病痛)
승(僧)이 조주에게 묻되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
조주가 이르기를 ‘무(無)’라 하니 다만 이 ‘무’자는 종문(宗門)의 한 관문이니 유심(有心)으로도 뚫을 수 없고, 무심(無心)으로도 뚫을 수 없다.
똑똑하고 영리한 사람이 바로 뒤집어 조주를 옭아매거든 내게 화두를 도로 가져오너라.
만약 털끝만큼이라도 있으면 문 밖의 소식이라.
각원 상좌는 깨달았느냐? 못 깨달았느냐?
묘(妙)한 깨달음이 원만히 밝을진대, 마땅히 조주는 이 무슨 면목(面目)인가? 를 알아야 하리라.
이 ‘무(無)’자를 이른 뜻은 무엇인가?
꿈틀거리는 것이 모두 불성(佛性)이 있다고 했는데 조주는 어째서 ‘무(無)’라고 했는가?
필경에 이 ‘무(無)’자의 뜻이 어디에 있는가?
본각(本覺)을 밝히지 못했으면 낱낱이 의심이 있으리니, 크게 의심하면 곧 큰 깨달음이 있으리라.
문득, 마음을 가져 깨달음을 기다리지 말며, 또 뜻으로서 깨달음을 구하지 말며, ‘유(有)와 무(無)’의 알음알이를 짓지 말며, ‘비어서 없다.’ 라는 알음알이도 짓지 말며, ‘쇠로 만든 비다’ ‘나귀 매는 말뚝이다.’ 라는 생각도 하지 말라.
의단(疑團)으로 하여금 나날이 치성케 하여 ‘무(無)’자를 돌이켜 면밀히 신광을 볼지니라.
보아오고 보아가며, 의심해오고 의심해가며, 도무지 재미가 없을 때, 조금 재미가 있으리니, 문득 번뇌심을 내지 말라.
의심(疑心)이 깊어지면 화두를 들지 아니해도 자연히 현전(現前)하리라.
문득 환희심을 내지 말지니라.
잘 되든, 안 되든 내버려두고 늙은 쥐가 관절을 쏘아 대듯 ‘무(無)’자를 거량하여라.
이렇듯이 몽산법어는 간화선의 골수(骨髓)를 드러내고 있다.
어록(語錄)을 보다 보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가 있다.
그 이유는 자신이 스스로 이상한 형상(形相)의 중생 생각으로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가려진 눈으로 뜻을 얻으려고 하니까,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다.
결코 말과 글이 어려운 것은 아니다.
불교는 기존의 자신이 부처임을 자각하는 공부이지,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 공부가 아니다.
꽃을 보고 아름다우니까 갖고 꺾으려고만 하지, 꽃이 어떤 토양에서 어떻게 과정을 겪으면서 이처럼 아름답게 피었는가? 라는 생각은 안 한다.
갖기만 하면 된다는 생각을 한다.
위와 같이 간화선이 좋다고 하니까, 그 과정은 무시하고 얼른 깨치면 좋겠다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