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부처님의 자비 광명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자유게시판

설법오복덕

이근착

view : 1686

賢者五福德經 현자가 얻는 5가지 복덕을 밝힌 경전이다.

 

聞如是하사오니 一時에 佛이 在舍衛國祗樹給孤獨園이러시니 佛告諸比丘하사대 賢者說法에 時有五福德하나니 何謂爲五福德고 其人所生에 卽得長壽하나니 是爲一福德이요 其人所生에 卽得大富饒財多寶하나니 是爲二福德이요 其人所生에 卽端正無比하나니 是爲三福德이요 其人所生에 卽名譽遠聞하나니 是爲四福德이요 其人所生에 卽聰明大智하나니 是爲五福德이니라

祗공경할 지(기), 饒넉넉할 요, 端바를 단,

'여시'라는 말에는 첫째 이와 같다는 뜻이며, 둘째 만약 잘못된 점이 있다면 말씀하신 부처님의 잘못이 아니라 자신의 책임이라는 뜻이다

 

何因賢者說法으로 得長壽오 用前世說法時에 上語亦善하고 中語亦善하며 下語亦善하고 其義備足하야 歸家無爲好殺之人이 聞法卽止하야 不殺이라 用是故로 得長壽니라 何因說法之人이 得大富饒財多寶오 用前世說法時에 上中下語- 其義備悉하야 歸家無爲盜竊之人이 聞經卽止하야 不盜하고 便能施與라 用是故로 得大富니라

悉다 실, 竊훔칠 절, 便편할 편, 與줄 여,

 

何因說法之人이 得端正無比오 用前世說法時에 上中下語- 其義備悉하야 歸家無爲令聞法者로 和氣安之하고 卽顔色悅하야 自生光澤이라 用是故로 得端正이니라 何因說法之人이 得名譽遠聞고 用前世說法時에 上中下語- 其義備悉하야 歸家無爲令聞法者로 敬佛敬法敬比丘僧이라 用是故로 得名聞이니라

 

 

何因說法之人이 得聰明大智오 用前世說法時에 上中下語- 其義備悉하야 歸家無爲令聞法者로 曉了妙慧라 用是故로 得聰明大智니 是爲五法 說經者得福也니라하시니 諸比丘- 聞經歡喜하야 前爲佛作禮하니라

曉새벽 효,

 

옛 부터 우리 들에게 널리 회자(膾炙) 되여 있는 말 가운데  오복이란 이 말은 중국 고대 《상서(尙書)》홍범편(洪範篇)에 맨 처음 기록 되어 있는 구절 들로써 옛 사람들이 인간의 행복에 대하여 정의(定義)해 놓은 고전적(古典的)인 명언(名言)이라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오복이라 함은  수(壽) , 부(富) , 강녕(康寧) , 유호덕(攸好德) , 고종명(考終命)을  말합니다

攸바 유,

《통속편(通俗編)》에 나오는 오복은 상서의 그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수 ·부 ·귀 ·강녕 ·자손중다(子孫衆多)로 되어 있어 두 가지가 다른데, 서민층이 바라는 오복은 오히려 이 통속편의 오복이라 할 수 있다. 남에게 덕을 베푼다는 유호덕보다는 귀가 낫고, 자기의 천수(天壽)대로 사는 고종명보다는 자손많은 것을 원한 때문이다.

 

눈 ·귀 ·코 ·혀 ·몸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 즉 오근(五根)이 각각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의 다섯 가지 감각대상, 즉 오경(五境)에 집착하여 야기되는 5종의 욕망이다. 또한 오경을 향락하는 것을 말한다. 대체로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전반을 뜻한다. 그것이 인간의 다섯 가지 감각대상 그 자체는 욕망이 아니지만 욕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오경도 오욕이라고 부른다.

또 재욕(財欲) ·성욕(性欲) ·식욕(食欲) ·명예욕(名譽欲) ·수면욕(睡眠欲)의 다섯 가지도 오욕이라고 말한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동입력방지 스팸방지를 위해 위쪽에 보이는 보안코드를 입력해주세요.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