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이고 지적이기때문에 종교인들만의 전유물로 남겨두기에는 너무귀중한것이라고...
강길형
view : 1505
“종교, 신앙인만 갖기엔 너무 귀중해”
서울신문 | 입력 2011.10.01 04:43 |
[서울신문]누군가 말했다. 종교를 가지려면 교회나 절보다 성당을 가는 것이 싸게 먹히니 가톨릭을 고르라고. 알랭 드 보통(42)의 신작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청미래 펴냄)는 이처럼 냉소적인 무신론자에게 종교의 미덕을 넌지시 이야기하는 책이다.
그는 연애 소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를 비롯해 '프루스트가 우리의 삶을 바꾸는 방법들' '여행의 기술' '공항에서 일주일을' 등 10권의 책을 쓴 전문 저술가다. 연애 소설 '왜 나는'은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보통의 책으로 판매 부수가 35만부를 넘었다. 보통의 문장이 20개국 언어로 번역될 정도로 사랑받는 것은 현대적 일상에서 새로운 가치를 탐구하기 때문이다. '무신론자'도 마찬가지다. 보통은 유대인 출신이지만 그의 집안에서 종교는 '우스꽝스러운 조롱의 대상'이었다.
"종교는 어린애나 지성이 떨어지는 사람이 믿는 것으로 알았어요. 지성인이라면 과학을 신봉해야 한다고 생각했죠. 이번 책에서는 이슬람, 기독교, 유대교를 주로 다뤘는데, 유대교에 대해서는 집에서 전혀 배우지 못했어요. 기독교는 유대교의 적이다 보니 비밀스럽게 매료되었습니다."
영어권보다 5개월 앞서 세계 최초로 출간된 '무신론자'의 홍보를 위해 처음 한국을 찾은 보통은 "영어권 출판사보다 한국의 편집인이 먼저 런던으로 날아와 연락했다."며 사람 좋아 보이는 미소를 지었다. 여전히 무신론자인 그는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역사학을 전공했고, 런던에 살고 있다.
'무신론자'는 말랑한 연애 소설이 아니다 보니 쉽게 읽히지 않는다. 독자의 이해를 위해 곳곳에 사진과 도판을 실었다. 현대 사회 소외의 원인을 '19세기 유럽과 미국에서 발생한 종교적 믿음의 개인화로 말미암은 공동체 정신의 훼손'에서 찾는 보통은 지금까지 생의 대부분을 책을 쓰는 데 바쳤다.
하지만 점점 책 바깥의 세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스쿨 오브 라이프'와 '리빙 아키텍처'란 두 개의 단체를 운영 중이다. 말 그대로 인생의 학교인 '스쿨 오브 라이프'는 저녁에 사람들이 모여 사랑, 죽음, 돈, 종교 등에 대해 서로 이야기한다. 강사가 있고 강의, 세미나 등이 주로 이뤄지는데 벌써 다녀간 한국 독자들도 있단다.
'리빙 아키텍처'는 세계 유명 건축가에게 부탁해 영국에 아름답고 우아하며 편안한 건축물을 짓는 단체다.
하룻밤 20파운드(약 3만 6000원)에 세계적인 건축가가 디자인한 현대적인 건축물에서 주말을 보내자는 생각에서 만들어진 이 단체는 벌써 5개의 건물을 지었다. '행복의 건축'이란 책을 쓰기도 한 보통은 "건축가가 되지 못한 것을 후회한다."고 털어놓았다. 사실 이 고백은 '무신론자'에 나오는 '아가페 식당'에서 서로에게 던지기로 유도되는 첫 번째 질문에 대한 그의 답이다.
현대적 커뮤니티 센터로 보통이 가정한 '아가페 식당'에서는 '오만'의 표현인 "무슨 일을 하십니까?" "아이들은 어느 학교에 다닙니까?"란 질문 대신 "후회하는 일은 무엇입니까?" "절대 용서할 수 없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로 서로에게 다가서라고 권유한다. 그는 종교의 이론적 결과뿐 아니라 실제적 결과에 관심을 둔 사람이 자신이 처음은 아니라고 말한다. 기존 종교의 부족함 때문에 '보편 종교에 관한 요약 설명' 등을 쓰고 새로운 종교를 만든 오귀스트 콩트(1798~1857)의 예를 든다.
보통은 훨씬 현대화된 콩트라 할 만하다. 콩트처럼 사제 10만명 양성 등의 과격한 주장은 하지 않는다. 다만 "종교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이고, 지적이기 때문에 신앙인들만의 전유물로 남겨 두기에는 너무 귀중한 것"이라고 나직이 말한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종교는 어린애나 지성이 떨어지는 사람이 믿는 것으로 알았어요. 지성인이라면 과학을 신봉해야 한다고 생각했죠. 이번 책에서는 이슬람, 기독교, 유대교를 주로 다뤘는데, 유대교에 대해서는 집에서 전혀 배우지 못했어요. 기독교는 유대교의 적이다 보니 비밀스럽게 매료되었습니다."
영어권보다 5개월 앞서 세계 최초로 출간된 '무신론자'의 홍보를 위해 처음 한국을 찾은 보통은 "영어권 출판사보다 한국의 편집인이 먼저 런던으로 날아와 연락했다."며 사람 좋아 보이는 미소를 지었다. 여전히 무신론자인 그는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역사학을 전공했고, 런던에 살고 있다.
'무신론자'는 말랑한 연애 소설이 아니다 보니 쉽게 읽히지 않는다. 독자의 이해를 위해 곳곳에 사진과 도판을 실었다. 현대 사회 소외의 원인을 '19세기 유럽과 미국에서 발생한 종교적 믿음의 개인화로 말미암은 공동체 정신의 훼손'에서 찾는 보통은 지금까지 생의 대부분을 책을 쓰는 데 바쳤다.
하지만 점점 책 바깥의 세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스쿨 오브 라이프'와 '리빙 아키텍처'란 두 개의 단체를 운영 중이다. 말 그대로 인생의 학교인 '스쿨 오브 라이프'는 저녁에 사람들이 모여 사랑, 죽음, 돈, 종교 등에 대해 서로 이야기한다. 강사가 있고 강의, 세미나 등이 주로 이뤄지는데 벌써 다녀간 한국 독자들도 있단다.
'리빙 아키텍처'는 세계 유명 건축가에게 부탁해 영국에 아름답고 우아하며 편안한 건축물을 짓는 단체다.
하룻밤 20파운드(약 3만 6000원)에 세계적인 건축가가 디자인한 현대적인 건축물에서 주말을 보내자는 생각에서 만들어진 이 단체는 벌써 5개의 건물을 지었다. '행복의 건축'이란 책을 쓰기도 한 보통은 "건축가가 되지 못한 것을 후회한다."고 털어놓았다. 사실 이 고백은 '무신론자'에 나오는 '아가페 식당'에서 서로에게 던지기로 유도되는 첫 번째 질문에 대한 그의 답이다.
현대적 커뮤니티 센터로 보통이 가정한 '아가페 식당'에서는 '오만'의 표현인 "무슨 일을 하십니까?" "아이들은 어느 학교에 다닙니까?"란 질문 대신 "후회하는 일은 무엇입니까?" "절대 용서할 수 없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로 서로에게 다가서라고 권유한다. 그는 종교의 이론적 결과뿐 아니라 실제적 결과에 관심을 둔 사람이 자신이 처음은 아니라고 말한다. 기존 종교의 부족함 때문에 '보편 종교에 관한 요약 설명' 등을 쓰고 새로운 종교를 만든 오귀스트 콩트(1798~1857)의 예를 든다.
보통은 훨씬 현대화된 콩트라 할 만하다. 콩트처럼 사제 10만명 양성 등의 과격한 주장은 하지 않는다. 다만 "종교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이고, 지적이기 때문에 신앙인들만의 전유물로 남겨 두기에는 너무 귀중한 것"이라고 나직이 말한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 허태기 종교는 아편과도 같은 것! 적절히 잘 쓰면 양약이요, 잘 못쓰면 마약이지요. 2011-10-01 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