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의 이해]9
허태기
view : 2604
이러한 오온설(五蘊說)이 대두된 것은
무아(無我)의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서였다.
오온설의 이론은, 인간의 존재란 5개의 요소(색.수.상.행.식)로 이루어져 있고
이 각 요소들은 모두 비실체적인 것이므로 이와 같은 요소들로 이루어진 인간 존재
역시 비실체적인 존재, 즉 무아(無我)란 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오온에는 고정 불변적인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래서, 경전에서 비유하기를,
색(色)은 거품덩이 같고,
수(受)는 거품방울 같고,
상(想)은 신기루 같고,
행(行)은 바나나줄기 같고,
식(識)은 허깨비 같은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르므로 비실체적인 것들의 집합체인 ‘존재’ 또한 비실체적인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부처님께서는,
“비구들아, 무상한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을 무상하다고 보면 올바른 견해를 얻는다.”
“신체에는 실체도 없고 본질도 없다.”
“비구들아, 어떻게 신체에 실체와 본질이 있겠는가?”
“비구들아, 어떻게 감각,표상,의지,의식에 실체와 본질이 있겠는가?”
“비구들아, 신체,감각,표상,의지,의식은 무상하다.
이것들이 일어나게 한 원인과 조건도 또한 무상하다.”
“비구들아, 무상한 것에서 일어난 것들이 어떻게 영원하겠는가?”
“모이는 성질을 가진 것은 모두 흩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라고 지적하셨다.
오온설은 무아 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이며, 이러한 오온무아설은 불교 가르침의 핵심인
고(苦)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해답이 되는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괴로움은 욕망 때문에 생기고,
욕망은 ‘내가 존재한다는 생각’ 때문에 발생한다고 하셨다.
즉, ‘내가 존재한다는 생각’, ‘나다’라고 하는 생각이 괴로움의 근본 원인이라고 하셨다.
나다’라는 생각도 없고, ‘나의 것’이라는 생각, ‘내가 옳다’라는 생각이 없다는 것을 확실히
이해한다면 우리들은 무엇에 집착할 것이며, 누구에게 화를 내고, 질투를 하고,
두려움을 느낄 것이 있겠는가?
금강경에서 ‘나다’라는 상(我相; 고정불변하는 실체)이 없으면
바로 부처를 볼 것이라고 했던 것도 이와 같은 이치이다.
무아의 이론은 ‘나다’라는 생각을 깨기 위해서 대두된 이론인 것이다.
나’라고 했을 때, 이 ‘나’는 바로 다름 아닌 오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오온의 하나 하나는 모두 연기(緣起; 의존하여 발생)된 존재로서,
무아(無我)이며,공(空)인 것이다.
그르므로 오온의 실체는 모두 공한 것(五蘊皆空)이다.
공(空)은 아무 것도 없다는 뜻이 아니라
모든 존재는 서로 관계를 가지면서 변화하는 것으로, 현상으로 있는 듯이 보이지만
실체나 주체로서 또는 자성으로 포착될 만한 고정된 것이 없다는 것이다. 즉,
유(有)와 무(無)를 초월한 존재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나타낸 개념이 바로 공(空)인 것이다.
조견오온개공(照見五蘊皆空)은 ‘일체를 모두 공(空)한 것으로 비추어 본다’는 것으로,
현상적으로 본다면, ‘나’라고 하는 존재, ‘너’라는 존재, 그리고, 이렇게 우주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實相)을 조견해 보면, 어느 것도 텅 비어 있어 공(空)하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렇게 일체가 공하다는 것을 비추어 볼 수 있는 지혜가 바로 반야인 것이다.
물리학적인 측면에서 공의 예를 들어보자면,
하나의 단단한 고철덩이가 있다고 하자. 이것은 꽉 차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미세한 전자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이것은 모두가 분자와 분자의 결합이며,
또한 그 분자도 자세히 쪼개보면 원자와 원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손가락 만한 물체도 사실은 10의 24 제곱 개,
즉, 억(億)의 억의 억 개 정도의 원자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원자 또한 원자핵과 전자라는 것으로 쪼개지고,
원자핵은 다시 양성자와 중성자가 결합되어 양의 전하를 띠게 되며,
전자는 음의 전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입자들은 질량을 가지는 작은 덩어리이지만,
이것은 파동이라는 작은 떨림으로 바뀔 수 있다고 한다. 다시 말해,
물질이 에너지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고정된 입자라고 생각한 것이 어느새 파동이라는 떨림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은,
곧, 어느 것도 고정된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물질은 이처럼 분자, 원자, 미세하게는 원자핵과 전자라는 극히 작은 입자들이 모여
잠시 잠깐도 머무르지 않고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움직이고 있다는 것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는 말이다.
우리가 느끼기에는 고정되어 있는 것 같은 나무나 돌들도
실제로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항상 변화하는 것,
무상(無常)한 것을 보고 어떻게 고정된 실체라고 할 수 있겠는가.
그렇기에 공(空)한 것이다.
이처럼 현대과학의 물리학도 불교의 무상(無常)과 무아(無我)의 교설,
그리고 공(空) 사상을 뒷받침해 주고 있는 것이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