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 큰스님 / 용맹정진 구도기
김영만
view : 2762
“큰스님,
얼마만큼 부처님을 그리워해야 합니까?”
“옆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저 사람 미쳤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큰스님께서는 외로운 토굴생활이 마땅하신가요?”
“공부하다 보면 감사한 마음이 끝이 없어서 계속하여 눈물이 납니다.
수건 두 개를 걸어놓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염불을 권하시는 이유를 말씀해 주십시오.”
“염불은 제일 하기 쉬우면서도 공덕 또한 많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더 빨리 초승(超乘)할 수가 있습니다.”
“토굴 생활이 적적하실 때가 있으신지요?”
“바람이 있고 달이 있습니다.
하늘에서는 신묘한 음악이 흐르고 있습니다.
그 이상의 행복이 어디 있겠습니까?”
(1982년 백장암에서 자훈 박병섭 거사가 청화 스님께 한 질문)
반세기동안 장좌불와와 하루 한 끼 식사 등 투철한 수행과
무소유를 실천한 당대의 선승.
선(禪)은 물론 현대의 철학과 자연과학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사상을 바탕으로
불교수행의 회통(會通)을 주장한 원통(圓通)불교의 주창자.
한없이 겸허한 마음으로 찾아오는 모든 이의 고통을 어루만진 성자.
청화 큰스님을 설명할 때마다 등장하는 수식어들이다.
청화 스님은 “금생 세연이 다했으니 이제 가련다”
라며 2003년 11월12일 곡성 성륜사에서 열반했다.
스님은 그 이전에
“올 때도 빈손이었는데 마지막 가는 길을 호화롭게 할 필요가 없다.
그냥 거적떼기에 말아서 일반 화장터에 가서 태운 뒤 그냥 뿌려라.
그렇게 해서 장례비용이 다소 남으면 불우이웃 돕기에 사용하라”고 유지를 남겼다.
스님에게는 스님들이 마지막 가는 길에 누구나 다 하는 다비식도 사치스러운 것이었다.
청화 스님의 구도를 향한 초인적인 수행 방법은 생명을 내건 것이었다.
그중 일반인들에게 특히 관심을 끄는 부분은 잠과 식사의 절제에 관한 부분이다.
생식가루 한 되로 100일 동안 엄동설한을 났다는 이야기.
하루 한 끼의 식사로 앉으면 자꾸만 굽어지는 허리를 펴기 위해
포대로 기둥에 허리를 묶고 참선한 이야기.
겨울 산 속,
불도 없이 석달 동안 먹지도 자지도 않으면서 수행한 이야기.
겨울 한밤 중 일어나는 번뇌ㆍ
망상을 다스리기 위해 머리에 찬물을 끼얹고는
얼굴과 온 몸에 고드름이 언 채로 수행 정진하던 일화 등등
스님은 실제로 50여년 동안 병환이 나지 않는 한 눕지 않는 장자불와를 실천했다.
또한 열반에 드는 날까지 하루 한끼의 식사 외에는 하지 않았다.
입적하는 날까지 80의 노구에 형형한 눈빛을 빛내던 스님은 당신의 고행에 대해
“정신과 육체에 모두 이로운 일이었다며 잠을 자지 않고 하루 한끼만 먹어도
감기 한번 걸리지 않았다”
고 말씀하시곤 했다.
스님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망일 수 있는 음식과 잠의 문제를 해결해
신체의 리듬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르렀고,
마침내 삶과 죽음을 넘어서는 대자유의 경지에 도달했던 것이다.
스님의 일대기를 정리한 『성자의 삶』(사회문화원)에는
청화 스님이 당신의 토굴 수행을 자세히 회상하는 말씀이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몸뚱이도 분명 내 마음이 머물고 있는 집이라서 너무 무리하면 그만치 장애가 된다.
그러나 고집을 부리고 장좌불와 한다고 버티며 토굴 생활을 그래저래 30년을 했다.
수행자로는 꽤 많이 한 편이다.
또한 토굴 생활이라는 것은 혼자이니까 저절로 묵언을 하게 된다.
한 4년 동안 오로지 묵언을 지키고 안 나오기도 했다.
묵언도 나같이 많이 한 사람은 드물 것이다.
그리고 먹는 것은 낮 한 때인데,
아궁이에 불을 땔 때는 밥을 해서 먹기도 하지만
반찬은 깨와 소금을 볶아 섞은 것이나 김가루를 간장으로 버무린 것이 고작이었다.
사실은 그런 정도가 아니라 미숫가루만 먹고 석 달 동안을 지내기도 했다.
그것도 결제 들어갈 때 짐도 무겁고 하니까
서너 되나 되는 미숫가루로 한철을 지내기도 했다.
미숫가루를 물에 타서 하루에 한 컵씩 먹고 석 달 동안을 지낸 것이다.
그리고 어떤 때는 하루에 둥글레 가루 한 스푼을 물에 타 마시며 석달 동안 지냈다.
또한 어떤 때는 생쌀을 물에 불렸다가 한 숫갈씩 먹기도 하였다.
하여튼 내 토굴 생활이라는 것은 표현하자면 비참한 생활이었다.
그래서 어떤 때는 내가 내 몸뚱이를 너무나 확대하지 않는가 하여
몸에 대하여 가엾은 생각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나에게는 다분히 유익했다고 본다.
그리고 어느 정도 공부에 힘을 얻어야 그렇게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내가 철두철미하게 다 바르게 살았다는 것은 아니다.
요즈음에는 나같이 토굴 생활을 하려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래서 권고할 생각은 없다.”
청화 스님은 1923년 무안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속명은 강호성.
14세에 일본에 건너가 5년제 중학을 졸업했고 귀국해서는
교육사업에 뜻을 두어 광주사범학교를 졸업했으며 고향에 망운중학교를 세우고
잠시 교편을 잡았다.
그는 출가해 부인과 아들 하나를 두기도 했지만,
해방 후인 47년(24세) 장성 백양사 운문암에서 근대의 숨은 도인으로 알려진
금타 화상을 은사로 출가를 결행한다.
이후 무안 혜운사,
두륜산 진불암,
지리산 백장암과 벽송사,
구례 사성암,
용문사 염불선원,
보리암 부소대,
부산 혜광사,
두륜산 상원암,
월출산 상견성암,
지리산 칠불사 등 전국의 토굴을 오가며 수행정진에 매진했다.
남이 보건 보지 않건,
평생 하루 한끼 공양을 실천하고
눕지 않는 수행을 보여 온 것은 물론이다.
64년 지리산 벽송사에서 31킬로미터 쯤 떨어져 있는 두지터 산정(山頂)
옛 암자자리에서 청화 스님은 산죽과 억새로 막을 짓고 한 겨울을 지냈다.
이 때의 상상을 초월한 고행을 제자인 성본 스님은 이렇게 증언한다.
“큰스님께서는 두지터에 대나무와 억새풀로 임시 처소를 만들어 극도의
고행 정진을 하셨다.
한 겨울 지리산 높은 곳에서 더욱이 생식하시며 불을 때지 않은 바위에
앉아계시니 상상이나 되는가.
큰스님은 가부좌하고 계셨는데,
온 몸이 얼어서 얼굴은 검푸르다 못해
새까맣게 변해 있었다.
그런데 큰스님께서는 정작 맑고 온화한 모습으로 그렇게 편안히 대하셨다.
순간 가슴이 미어지더라.
큰스님께서 나를 보고 일어서시는데 다리가 펴지지가 않았다.
그래서 얼른 주물러 드리니까
‘괜찮네,
괜찮네’
하시며 손수 몸을 쓰다듬으시며 일어나셨다.
나도 모르게 눈물이 흘렀다.
성자의 길을 간다는 것,
갈 수 있다는 것은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님을 알았다.”
이러한 용맹정진 이후,
오산 사성암에서 청화 스님은 ;;
물러섬이 없는 수행 경지인 불퇴전지(不退轉地)에 드신 것으로 알려져 있다.